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에서는 고금리 상품을 많이 출시합니다. 그래서 혹하고 가입하게 될 때가 많은데요, 이럴 때마다 이 은행이 부실한 건 아닌지 걱정되셨던 분들 많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주 쉽고 간단하게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 재무 건전성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주 간단하니, 꼭 확인하시고 상품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돈은 소중하니까요. 

안전성, 재무건전성 확인 사이트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접속해주세요.
은행안전성확인 바로가기

안전성 확인 방법 3가지만 확인

중간 파란색 박스에서 원하는 은행을 선택합니다. 저는 저축은행의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비은행-저축은행'을 선택하였습니다. 
모바일로 접속하셨다면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은행선택(오케이저축은행 등) 들어가시면 하단에 유동성비율, 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바로 나와서 확인 가능합니다.



pc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해주세요.

1. 유동성 비율 확인

유동성 비율은 해당 저축은행이 단기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00% 이상이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 유동성 비율이 100% 이상인지 확인하세요.
저축은행-주요 경영지표-유동성을 클릭합니다.

은행 안전성 확인
은행 안전성 확인

유동성 비율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측 상단에 '조회' 버튼을 눌러주세요. 

은행 안전성 확인
은행 안전성 확인

그럼 아래와 같이 유동성비율이 나옵니다. 제가 조회한 오케이저축은행은 230%로 양호한 수치입니다. 

은행 안전성 확인

 

2. 자기 자본비율 확인(BIS 비율)

자기 자본비율은 위험 자산에 대비하여 얼마나 많은 자본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재무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인데요, 8% 이상이면 안정적이라고 평가를 받습니다. 이 자기 자본비율이 8% 이상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요 경영지표에서 자본적정성-BIS기준 자기 자본비율 산출내역을 클릭합니다. 

자기자본비율 확인
자기자본비율 확인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조회를 클릭합니다. 

자기자본비율 확인
자기자본비율 확인

조회 결과, 자기 자본비율을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케이저축은행의 경우 12.94%로 8%를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자기 자본비율이 8% 이상으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자기자본비율 확인
자기자본비율 확인

3. 고정이하여신 비율

마지막으로 확인해 볼 것은 고정이하여신 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대출 중에서 부실 대출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해당 은행에서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대출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5% 이하이면 일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라고 평가를 받습니다. 오케이저축은행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어떤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경영지표-여신건전성으로 들어갑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조회를 클릭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케이저축은행은 11.99%로 꽤 높은 편입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는 아무래도 부실채권이 많고 1 금융권에 비해 안정적이지 않다는 소문이 있다 보니 걱정이 많이 되기 마련입니다.
상품에 가입하기 전에 위의 설명드린 세 가지만 살펴보아도 은행의 재무 건전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협, 새마을금고도 마찬가지로 공신력 있는 금감원의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꼭 들어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 바로가기

+ Recent posts